오늘은 Part2.게시판 서비스 강의의 `깃헙 프로젝트와 이슈 정리하기` 부분을 학습하였다.
먼저 원격 저장소를 생성하는 과정을 배웠다.
public과 private가 있는데 private로 설정하면 권한과 관련한 제약사항이 들어가기 때문에 gitkraken에서 사용하기 까다로울 수 있다.
라이센스를 추가하는 부분이 있는데 대표적으로는 MIT License가 있다.
옵션으로는 README 파일을 자동생성 해줄지 선택하는 부분과 .gitingnore 파일을 자동 생성해줄지 선택하는 부분이 있다.
.gitignore 파일은 git 버전 관리에서 제외할 파일 목록을 지정하는 파일이다. git으로 프로젝트를 관리할 때, 그 프로젝트 안의 특정파일들은 관리할 필요가 없는 경우가 있다고 한다.
gitignore.io는 .gitignore 파일은 쉽게 만들어주는 사이트이다. 프로젝트에서는 제거할 부분으로 Java, Window, macOS, Intellij+all, VisualStudioCode, Gradle 등이 있다.
깃허브 이슈를 작성하는 것을 배웠다.
이슈에서는 assignment를 지정해주고, labels을 설정할 수 있다. labels에서는 inhencement, documentation, bug, duplicate, invaild 등이 있다. 개발은 inhencement로 설정하면 된다. 그 외 milestone도 있다.
깃허브 Projects 부분을 배웠다.
칸반보드는 애자일 프로세스 기반 프로젝트 관리 솔루션이다. 이것이 애자일 프로세스를 도입하면서 늘리 쓰이다 보니 깃허브에서도 이 기능을 제공한다.
project 알파는 프로젝트 내에서 생성하는 것이고 project 베타는 현재 프로젝트 외에 모든 프로젝트를 포함해서 생성하는 것이다.
프로젝트에서 템플릿은 backlog로 만들어 주었다.